노동자 전위 1071호
2015년 7월 10일
2015년 7월 10일
러시아는 제국주의 국가인가?
(편지)
2015년 3월 25일 노동자 전위 앞
나는 정치적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와 관련하여 노동자 전위는 러시아를 제국주의 열강이 아니라 지역적 열강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예, 러시아는 러시아가 구 소련이었던 때의 그 무엇인가와 비교하면 경제적으로 매우 약하지만, 여전히 엄청난 양의 핵무기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체첸과 같은 지역들을 계속해서 점령하고 있고, 이러한 점들이 무엇이 진짜 제국주의 국가들의 카테고리를 정하는지에 대한 일부 의문을 낳고 있습니다.
나는 우크라이나를 광범위하게 여행했는데, 대다수의 우크라이나 동부 그리고 분명히 크리미아가 정말로 러시아라는 것은 명백합니다. 분명하게, 사람들이 나토 그리고 그래서 미국의 공격적인 행위에 반대해야만 합니다. 하지만, 러시아 혁명을 기억해볼 때, “총구들을 돌려라 - 주요한 적은 국내에 있다”라는 슬로건이 언제 의미를 가지는 것입니까?
붉은 인사를 보내며,
시애틀에서 로렌스가
노동자 전위가 답합니다.[이하 존칭 생략]
러시아가 제국주의 국가일지도 모른다고 암시하기 위하여 독자가 사용한 기준들은 본질적으로 군사적인 것, 즉 러시아가 핵무기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체첸에 대한 두 번의 흉포한 전쟁을 벌였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군사적 강력함과 공격적 태도는 그 자체로 그리고 저절로 한 나라를 제국주의 국가로 정의하지는 않는다. 레닌이 요약했듯이, “제국주의는 독점들과 금융자본의 지배가 확립된, 그리고 자본의 수출이 확연한 중요성을 획득했으며, 국제 트러스트들 간의 세계분할이 시작되었으며, 가장 큰 자본주의 열강들 사이에 지구의 모든 영토들의 분할이 완성된 발전단계에 있는 자본주의이다”(제국주의, 자본주의의 가장 높은 단계[1916]). 소수의 제국주의 열강들의 이러한 지배는 덜 발전된 나라들의 경제적 발전과 사회적 진보에 가장 커다란 장벽이다.
시장들, 원료들, 그리고 값싼 노동으로의 접근을 위한 제국주의 열강들의 항상적 투쟁은 외국들에 있는 자산을 획득하고 지키기 위한 제국주의 전쟁들의 발생으로 귀결된다. 러시아는 전 지구적 규모에서 세계의 분할에 역할을 하지 않는다. 러시아의 의미있는 군사적 강력함, 특히 러시아의 핵무기가 제국주의자들로 하여금 러시아를 주변으로 밀쳐내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기는 하지만 러시아는 미국이 하는 것처럼 지구 전역에서 나라들을 침략하고 폭격하지는 않는다. 러시아는, 심지어 영국이나 프랑스와 같은 2류 제국주의 열강들이 하는 것처럼, 자신의 국가적 이해관계를 위하여 멀리 떨어진 지역들로 군대들을 파병하지도 않는다.
비록 제국주의적 야심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러시아는 지역적 열강이다. 러시아 군대들이 나토를 위한 유화적인 경찰로 활동했던 1990년대 중반에 구 유고슬라비아에서의 매우 제한적인 개입을 제외하고는 붕괴 후 소련은 구 소련 영토 밖에서는 어떠한 군사적 개입도 하지 않아왔다. 모스크바는 억압당하는 체첸 인민들이 러시아로부터 분리할 그들의 권리(우리가 지지하는 권리)를 주장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체첸에서 두번의 잔혹한 전쟁들을 벌여왔다. 그러나 스리랑카에서의 타밀과 미얀마(버마)에서의 로힝야의 예와 같이 제국주의 국가가 아닌 많은 나라들이 자신들의 국경 내부에서 소수민족들을 억압한다. 또한 러시아는 친 러시아 남(南)오세티아를 두고 그루지아[조지아]와 싸웠는데, 미국은 그루지아를 지지했다. 제국주의 국가들이 아닌 두 개의 자본주의 나라들 사이의 그 2008년 전쟁에서, 우리는 혁명적 패배주의, 즉 그루지아와 러시아의 노동자들의 계급적 이해관계는 사회주의 혁명을 통하여 자신들 각자의 자본주의 지배자들을 타도하기 위한 투쟁에 있다는 입장을 취했다.
1991-92년 자본주의 반혁명으로부터 생겨난, 소비에트 이후의 러시아는 역사적으로 유일하고 유례가 없는 현상이다. 러시아의 산업발전이 노동자국가의 집산화된 경제를 통하여 주로 발생했기 때문에, 오늘날의 러시아는 오랫동안 존재해 온 기존의 자본주의 국가들의 범주들에 정확하게 들어맞지는 않는다.
지난 10년의 대부분의 시기 동안 자신의 화석연료들의 높은 가격들로 강화된 러시아 경제는 1990년대의 자본주의적 “충격요법” 이후 떨어졌던 나락에서 어느 정도 회복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제국주의 열강의 경제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러시아의 새로운 자본가 지배자들은 엄청난 천연자원들을 가진 나라에 있는 대규모 산업적 기반과 광범위한 산업기반시설을 손에 넣었다. 하지만 기술과 생산의 질에서 러시아의 산업은 다른 선진화된 자본주의 나라들보다 굉장히 뒤쳐져 있다. (대부분 소련으로부터 물려받은) 무기산업을 제외하고는 러시아 제조업의 어떤 부문도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자본수출로 특징지어지는 제국주의 나라들과는 반대로, 러시아는 자본이 아니라 주로 천연자원들을 수출한다. 러시아의 경제는 석유와 천연가스 부문에 크게 의존하는데, 2013년에는 이 부문이 러시아 GDP의 16%, 연방정부 수입의 52%, 그리고 수출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외국으로 나가는 “투자”는 대부분 제국주의 중심부들로의 자본도피나 세금회피의 형태를 취한다.
독일 지배계급의 일부는 유라시아의 지배자로서의 독일의 “자연스러운” 역할로 자신들이 인식하고 있는 바를 주장하기 위한 방편으로 러시아와의 동맹을 고려한다. 심지어 독일수상 안젤라 메르켈 같은 “범대서양주의자들”조차 러시아에 대해서 워싱턴보다 훨씬 덜 호전적인 태도를 취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미국과 독일 지배자들은 구 소련의 다른 나라들에서의 러시아의 영향력을 억제하고 축소하려는 데 있어서 자신들의 동맹을 유지해왔다. 그래서, 독일이 좌우하는 유럽연합은 우크라이나에서의 러시아의 활동들을 이유로 하는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들을 유지함에 있어서 워싱턴과 함께 해왔다.
미국이 수장으로 있는 기존의 제국주의 국가들은 러시아를 자신들의 클럽에 들어오지 못하게 지속적으로 작업한다. 제국주의 나토 동맹은 (러시아 국경의 문턱인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의 경우에서) 동유럽 속으로 확장해왔고, 미국은 이 지역에 탱크들과 기타 중장비 배치를 점점 더 늘리고 있으며, 냉전 종료 이래 처음으로, 나토는 자신의 핵 억지력을 강화할 것을 의논하고 있다. 미국 제국주의는 또한 소련의 몇 몇 구 공화국들에 친 워싱턴 정권들을 세우기 위하여 색깔“혁명들”을 후원해왔다. 파시스트로 우글거리는 적의에 찬 반(反)소련 정권을 세웠던, 작년 우크라이나에서의 미국의 지지를 받았던 쿠데타가 딱 들어맞는 경우이다.
우리가 오늘날 우크라이나의 전투에 참여하는 모든 세력들의 병사들에게 자기 자신의 자본가 지배자들을 향하여 “총구를 돌리”라고 요구해야 하는지, 즉 우리가 혁명적 패배주의의 입장을 가져야 하는지 여부에 관하여 우리의 독자는 묻는다. 그것은 1차 세계대전에서의 레닌의 입장인데, 1차 세계대전은 세계의 재분할을 두고 제국주의 열강들 사이에서 벌어졌던 제국주의간 전쟁이었다. 반대로, 미국 제국주의의 교묘한 술책들의 직접적 결과인, 우크라이나에서의 현재의 분쟁은 내전이다. 인종적으로는 섞여 있지만 대부분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나라의 동쪽지역들에 있는 전투원들이 초강경 민족주의적 우크라이나 정권이 자신들의 민족적 권리를 짓밟고 있었기 때문에 들고 일어섰다. 키에프 정권은 자신의 군대와 신나찌 자원부대들을 동원하여 도시에 포격을 가하고, 수백명의 시민들을 죽이고, 병원과 산업공장들을 파괴하는 것으로 응했다. 러시아가 동 우크라이나에서의 반란들을 지원했지만, 모스크바는 동 우크라이나를 편입하는 것에 어떠한 관심도 보여주지 않았다는 점이 언급되어야 한다. 러시아 군대가 침공하고 있다는 키에프와 키에프의 제국주의 보호자들에 의한 반복적인 주장들과는 반대로, 푸틴은 키에프 정권과의 직접적인 전쟁을 분명하게 회피해왔다.
혁명적 맑스주의자들은 이 분쟁에서 한 쪽 편에 선다. 즉, 우크라이나, 러시아 그리고 세계의 노동계급의 이해관계는 동 우크라이나의 인민들과 그들의 자치를 위한 권리를 방어하는 것에 있다. 동 우크라이나의 “친 러시아” 세력들과 군사적으로 편을 같이 한다는 사실이 민족주의적 반란 지도자들이나 푸틴 정권에 대한 정치적 지지를 의미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동 우크라이나 인민들에 대한 우리의 방어는 민족적 적대와 싸우는 것에 있어서, 그리고 서로 다른 민족들의 노동인민들이 진짜 적이 서로의 상대방들이 아니라 그들 “자신의” 자본가 지배계급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조건들을 창출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것이 민족적 자결권에 대한 인정이라는 점을 강조했던 레닌의 접근으로부터 안내 받은 것이다.
|
No comments:
Post a Comment